본문 바로가기

공연·전시안내

대관공연무용

소극장에서 만난 일곱빛깔 우리 춤

  • 일자 2023-11-10(금)
  • 시간19:30
  • 장소광주시문화예술의전당 맹사성홀
  • 출연하늘누리 춤터
  • 소요시간90분(인터미션 없음)
  • 티켓10,000원
  • 관람연령6세 이상
  • 주최 하늘누리춤터
  • 주관후원: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광주시문화재단
  • 문의010-6302-7427

공연상세 정보




프로그램
 
1. 태평무 : 정은선
- 국가무형문화재 제92<태평무>는 나라의 풍년과 태평성대를 축원하기 위해 추는 춤이다. 엄숙하고 장엄하면서도 빠른 발놀림이 특징인데 정··동의 미적 형식을 가진 완벽한 춤으로 양손으로 남색 겉치마를 살짝 들어올릴 때 보이는 홍색 안치마와 하얀 버선발은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준다.
 
2. 달빛잔향 : 홍라희 최예지
안무 : 정은파 (무용학 박사, 정은파춤 예술원 대표)
- 달빛과 어우러진 꽃향기와 여인들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가야금 산조곡에 맞추어 아름다움을 표현한 작품이다. <달빛잔향>은 정..동의 절제된 춤사위가 선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고조되어가는 동양적 카타르시스를 2인무로 구성한 산조춤이다.
 
3. 강강술래 : 유혜지 서지원 양정민 박수현 김하윤 정소율 김민주 김지우 김윤지 장혜리
- <강강술래>는 추석날 밤이나 정월 대보름날 밤에 행해진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양식을 무대화한 작품으로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해남·완도·무안·진도 등 전라남도 해안일대에서 성행되어 왔다. 명칭은 강강수월래또는 한자로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로 표기하는 일도 있으나 강강술래가 일반적이다.
 
4. 진쇠춤 : 정은선
- <진쇠춤>은 쇠를 들고 가락을 쳐서 잡귀를 몰아내고 예전에는 국태민안과 시화연풍을 노래하고 팔도원님들이 왕 앞에서 국운을 빌며 제사를 지내는데서 유래되었다고도 전해진다. 이 춤은 조흥동 선생이 안무하고 구성하였으며 철릭소매와 꽹과리 채에 늘인 오색끈이 화려함을 더해주는 복식으로 외발뛰기와 꽹과리를 휘두르는 춤사위 등이 매력적인 춤이다.
 
5. 판굿 : 전통타악그룹 공존
양도선 () 송송이(태평소) 이민호() 이극언() 권진우(장구) 한건(소고)
전통타악그룹 공존이 선보이는 <판굿>은 한국 전통 민속공연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된 남사당놀이에서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풍물작품이다. 전통타악그룹 공존은 한국전통의 멋과 현 시대의 대중문화가 공존하는 공연문화를 만들어 내고자 2012년에 창단되어 전통공연예술의 새로운 창조를 이끌어가고 있는 단체이다.
 
6. 소고춤 : 홍라희 서지원 최예지 양정민
- 농악에서 소고놀이의 독특한 춤사위와 가락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무대화시킨 <소고춤>은 경쾌하고 절도있게 몰아치는 춤사위를 굿거리, 자진모리, 동살풀이, 휘모리 등 다양한 가락에 맞추어 소고를 두드리면서 활동적인 발디딤과 대삼, 소삼 몸짓으로 어우러져 신명을 풀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볼수록 담백하고 깔끔하면서도 흥진 것이 참 매력적인 춤이다.
 
7. 진도북춤 : 유혜지
- 전남 진도는 우리나라 민속춤의 보고라 불릴만큼 다양한 춤들이 전승, 보전되어오고 있다. 원래 농악의 한 부분으로 공연되어 오던 <진도북춤>은 인간문화재 박병천 선생이 다양하고 새롭게 안무한 작품이다. 다른 지역의 북춤은 북채를 하나만 사용하지만 진도에서는 양채북으로 양쪽을 두드려서 효과가 한층 더한다. 품앗이 장단, 갈뚱말뚱 장단, 헐사굿 장단, 호성 등의 장단가락이 대단히 섬세하고 춤사위의 기교가 뛰어나 세련되면서도 예술성이 돋보이는 춤이다.


출연자 프로필, 스텝명단
 
1. 정은선
하늘누리 춤터 대표
정금란춤 전승보존회 부회장
()대한민국 전통예술 전승원 이사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도살풀이춤 전수자
 
2. 유혜지
경희대학교 무용과 졸업
우리춤협회 이사
윤명화 무용단 정단원
39호 국가무형문화재 처용무 전수자
하늘누리 춤터 정단원
 
3. 서지원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문화예술사 자격증 취득
무용지도사 자격증 취득
하늘누리 춤터 정단원
 
4. 홍라희
세종대학교 무용과 졸업
경기광주무용학원 부원장
정은파춤 예술원 사무국장 및 무용단원
하늘누리 춤터 정단원
정금란춤 전승보존회 회원
 
5. 최예지
세종대학교 무용과 졸업
정은파춤 예술원 기획부장 및 무용단원
하늘누리 춤터 무용단원
 
6. 양정민
하늘누리 춤터 청소년 무용단 정단원
청계산마당바위 이야기 출연
2022 한국예술무형유산 콩쿨 금상
2023 성남무용협회 콩쿨 대상
 

스텝 :
 사회 : 정미옥
무대 : 정은미
조명 : 최영환
음향 : 김명주 이보민
티켓 : 문정혜 공혜진
 


 

 

유의사항

목록